Experiment/Biochemistry Experiment

[단백질] 단백질 연구 시 고려해야 할 사항 1편_완충용액 (Buffers)

Theo"Dora"-sci 2023. 5. 23. 08:00
반응형

단백질 연구 시 고려사항_1. 완충용액(Buffer)

 
 
단백질은 세포의 구성 요소일 뿐 아니라 
거의 모든 세포기능을 실행하는 물질입니다.
 
단백질이 여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단백질이 수없이 다른 3차원 모양을
형성하기 때문입니다. 
 
때문에, 
각 기능은 단백질의 구조에 의해 좌우됩니다. 
 
단백질에 대한 첫 단계는 
대부분 세포 내에 존재하고 있는 단백질을
조절 가능할 수 있도록 파쇄하는 것이고, 
 
이는, 단백질이 세포 내에 존재하고 있던 환경과는
전혀 다른 환경에 노출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조절은 반드시 필요합니다. 
 


1. 완충용액이란?

완충용액은 약산과 그 짝염기의 혼합물로,

소량의 산(H+), 염기(OH-)가 첨가되었을 때

그 용액의 급격한 pH 변동을 억제하는 용액입니다.

 

이러한 원리로

완충용액은 세포와 조직에 

pH 변동에 저항함으로써

세포와 조직에 완충작용을 합니다.

 

가해지는 산과 염기를 방어하는 완충용액

 


2. 완충액 (Buffer)의 pH

 
용액의 pH를 유지하기 위하여
완충액을 사용하게 됩니다. 
 
각 완충액마다 적정 pH를 가지고 있고, 
이 pH range에서 사용하여야 
완충 능력을 가지게 됩니다. 
 
각 buffer 별 pH range는 다음과 같습니다.

완충용액(buffer) 별 pH  buffer range

 
 
또한, 실험의 편의상 실험실에서는 보통
10~100 배 농축된 완충액을 만들거나 사서 
희석시켜 사용하는데
희석에 따라 pH가 변화하기 때문에
사용할 때마다 보정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인산완충액 0.1 M, pH 6.7을
10 배 희석 시 → pH 6.8
100 배 희석 시 → pH 7.0이 됩니다. 
 
Tris는 10 배 희석할 때마다 
pH가 0.1 씩 내려갑니다.
 


3. 완충액(Buffer)의 오염 방지


완충액은 미생물의 번식이 용이합니다. 
 
따라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1. 여과하거나
2. 냉장 보관하거나
3. 0.02 % (=3 mM) sodium azide를 첨가
하기도 합니다. 
 


4. 완충액(Buffer)의 농도

 
완충액을 사용할 때에는 
가장 낮은 농도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결국, 완충용액도 ionic, 
짝산-짝염기 원리를 이용한 것이기 때문에 
 
비특이적 ionic strength의 효과를
방지하는 것이 
실험할 때 유리하게 됩니다.
 
 


5. 완충액(Buffer) 별 특성 및 한계

 

1. 인산완충액

 
한계:
다가 양이온과 결합력이 큽니다. 
다가 양이온과 결합하게 되면 
완충용액의 완충력이 저하되고, 
여러 효소가 활성을 잃습니다. 
(kinase, phosphatase 등)
 

2. MOPS

 
한계:
Lowry에 의한 단백질 정량 시 분석을 방해합니다.
 
 

3. HEPES

 
한계:
Lowry에 의한 단백질 정량 시 분석을 방해하고, 
piperazine를 함유한 다른 완충액과 같이 
free radical을 쉽게 생산합니다. 
 
산화/환원 반응 연구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4. Tris

 
한계:
세포막을 쉽게 통과하고, 
금속 이온과 결합하여 proton을 분비하고, 
pH를 낮추며 불용성 침전을 만듭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