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난 번에 말씀 드린 것처럼
단백질을 분석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세포 내 환경에서 벗어난 환경에서
단백질을 분석하게 됩니다.
특히, 세포가 파쇄되면
국소적으로 존재하던 항산화제가 희석되는 동시에
산소와의 반응 기회가 증가하게 됩니다.
인위적으로 산화성 스트레스에 노출되는 것입니다.
많은 단백질이 산화되면
가역적 또는 비가역적으로
기능을 소실하게 되기 때문에
환원제를 첨가하여 산화를 방지할 필요가 있습니다.
주로, 2-mercaptoethanol(BME) 과
Dithiothreitol(DTT),
Cleland’s reagent를 사용합니다.
역할
이러한 환원제는
유리된 sulfhydryl group을 안정화시킵니다.
Protein 내 cysteine 잔기들로 인한
protein의 intemolecular 또는 intramolecular
disulfide bond를 방해합니다.
즉,
각 thiol 기 (-SH)가
이황화결합 (-S-S)으로 형성되는 것을
방해하는 것이죠.
728x90
반응형
'Experiment > Biochemistry Experi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백질] 단백질 연구 시 고려해야 할 사항 4편_단백질 환경 (Protein enviroment) (0) | 2023.06.13 |
---|---|
[단백질] 단백질 연구 시 고려해야 할 사항 3편_세정제 (Detergent) (0) | 2023.05.31 |
[단백질] 단백질 연구 시 고려해야 할 사항 1편_완충용액 (Buffers) (0) | 2023.05.23 |
[발현] Inclusion body (Insoluble form protein) (0) | 2023.05.17 |
[분석] SDS-PAGE를 이용한 목적 단백질의 크기 분석_1편 (0) | 2023.05.03 |